도민 인구가 계속해서 줄어들어 왔고 시군 통합으로 기초 지방자치단체 수도 줄어든 가운데 특히 농촌인구의 수직 감소로 농촌 마을이 사라지면서 30년 내 전북 14개 시군 중 10개가 소멸 위기를 맞게 되리라는 전망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방 소멸에 관한 7가지 보고서’를 통해 젊은 인구 유출과 저 출산 그리고 고령 노인 사멸 등으로 가구 수가 급감해 20가구가 채 안 될 전국의 ‘과소화 마을’ 1천280개 중 전북에 40% 515개 마을이 몰려 있다고 진단했다.
  고용정보원은 이들 마을은 젊은 인구 부재로 신생아 출산이 없는데다가 현재 마을에 살고 있는 고령 노인들이 사멸하게 되면 마을이 사라질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인구가 바닥을 치게 되는 농촌지역 시군 자치단체들도 자연 소멸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정보원은 39세 미만 가임여성 비중과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 간 상대비가 0.5 이하를 기준으로 선정한 전국의 소멸위기 자치단체 77개 중에 전북이 10개를 차지한 것으로 분류했다. 전주 익산 군산과 완주군을 제외한 농어촌지역 시군 모두가 대상이다.     
  농촌지역의 초 고령사회화와 마을 공동화의 진행은 전국적인 현상으로 귀농귀촌 장려 등에 아랑곳없이 현재로서는 이를 막을 수 있는 어떤 뚜렷한 대책이 없는 게 현실이다. 그 가운데서도 전북의 실정이 너무 참담하다.
  실제로 전북 농촌지역 시군의 농가 및 농가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여간 심각하지가 않다.
  통계청 조사로 농가 호수가 2005년 12만2000가구서 2016년 9만9000가구로 10년 사이 2만3000가구, 해마다 2천300가구 씩 줄었다. 같은 기간 농가인구도 31만9000명에서 22만7000명으로 무려 9만2000명이나 줄었다. 해마다 1만 명 가까운 감소다.
  과소화 마을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다 현재로서는 증가가 멈춰지거나 줄어들 가망이 보이지 않는다고 해야 할 것이다.
  전북도가 ‘농촌 고령.과소화 마을 대응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고 하나 대세를 가로 막거나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 아닐 수 없을 것 같다.  농촌의 구조적 대 전환을 찾는 역발상(逆發想)의 지혜가 요구되고 있는 것 같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