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소비를 늘리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1테이블 1플라워(1T1F) 운동'이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지자체·민간기업 등이 이 운동에 동참하고 있지만, 소극적이라는 것이다. 화훼농가들은 그 사이 생사의 갈림길에 내몰리고 있다고 호소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1T1F 운동은 2015년 9월 시작됐다. '1T1F 운동'은 기관 등이 꽃 배달을 신청하면, '꽃 코디'가 1주일에 한 번씩 해당 장소에 찾아가 꽃 세팅은 물론, 수거까지 해 주는 서비스다. 화훼농가의 어려움을 덜어주고자 시작한 의미가 크다. 그런데 1년 반이 지난 3월 기준 전국 기관 및 기업 참여는 41곳에 불과할 뿐이다.
화훼농가들의 요구는 보다 현실적이다. 화환 재탕을 막고, 김영란법을 개정해야 숨 넘어가는 화훼농가를 회생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 언발에 오줌누기식 꽃 소비촉진 운동으로는 화훼산업의 몰락을 막을 수 없다는 절박함을 쏟아낸다.
이미 우리나라 꽃 소비는 지난 2003년 '공무원 행동강령' 시행을 기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김영란법이 결정타를 날려 산업 존립 자체를 흔들고 있다. 대부분 선물용으로 유통되는 화훼류는 김영란법의 영향이 크다. 한국화원협회에 따르면 김영란법 시행 직후인 지난해 10월에서 12월 사이 소매거래 규모는 전년동기비 28% 감소했다. 올 1월 들어 감소폭은 37.6%로 더욱 커지고 있다.
이달 7일 농식품부는 '화훼류 소비 생활화 추진계획'을 내놨다. 꽃 소비가 급격히 감소한데 따른 후속 조치다. 유통업체 화훼코너를 대폭 늘리고, '1T1F' 운동 참여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어린이에게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꽃을 체험토록 한다. 또한 전국 주요지점에 꽃 직거래장터를 운영하고, 공공캠페인도 강화한다고 홍보하고 있다. 일견 타 품목과 형평성이 어긋날 정도의 느낌이 드는 과한 대책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모든 대책이 화훼농가의 어려움을 줄여주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전북지역 화훼업계는 농식품부가 수차례 비슷한 사업을 추진했지만, 화훼농가의 폐업은 줄지 않고 있다면서 김영란법 개정 및 조화 재사용 억제 등의 조치만이 정책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정부와 국회가 새겨들어야 할 목소리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