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가금류 AI 피해에 이어 우제류 구제역 피해까지 겹쳐 축산 초토화 위기를 겪은 정부가 후진국형 축산업 개편을 위해 김제 용지 양계단지를 선도지역으로 선정할 것으로 전해진다.
  같은 시기 AI 발생으로 대규모 피해를 입은 한국과 달리 한국의 30분의 1 피해에 그친 일본 축산을 살펴본 정부 태스크포스(TF)팀이 대규모 피해가 후진국형 밀집축사 밀식사육에 있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부는 그간 AI가 2회 이상 발생한 지역을 대상으로 축산농가의 법인화가 가능한 3개 단지를 공모 방식으로 선정해 축사 구조조정 등 현대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사업은 참여농가가 사업비 10%만 부담하고 국.지방비 80% 융자 10%로 사실상 정부 재정으로 추진한다.
  겨울 동안 한국의 AI피해는 가공할 정도였다. 3개월여 동안의 AI로 국내 가금류의 20%에 이르는 무려 3천3백여 만 마리를 살 처분 매몰했다. 같은 시기에 일본은 114만 마리에 그쳤다. 가금류 사육은 일본이 2배 규모로 알려져 있다.
  2003년 이후 주기적으로 발생한 AI로 살 처분 된 가금류가 7천6백만 마리에 보상금만 1조원에 이른다. 김제 용지서만 4차례에 걸쳐 1977억 원이 집행됐다. 정부가 이번 3곳 선도지역에 270억 원을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 보상액 규모에 비할 바가 못 된다.
  한국의 밀집축사 밀식사육이 얼마나 심각한가는 일본 AI 발생지역 축산단지 10km내 7농가인데 반해 김제 용지는 410농가로 알려져 있다. 거기다가 한국은 케이지식 밀식사육이어서 AI 바이러스가 급속하게 확산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그런데도 후진국형 밀집축사 밀식사육에 대한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개선 없이 AI만 발생하면 무차별 살 처분에 대량 매몰이란 극히 후진국형 대처를 반복해오면서 천문학적인 재정을 소모해왔다고 할 것이다.
  김제 용지 축산단지는 특히 AI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산란계가 주축으로 피해가 반복되어 왔던 지역이다. 정부의 법인화 요구가 난제라고 들리나 이는 축산농가의 이해 부족이 아닐 수 없다. 대상지역으로 선정돼 비단 용지뿐 아니라 한국 양계축산의 후진국형 탈피를 선도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