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학교폭력의 절반 이상이 전주, 익산, 군산 등 주요도심 학교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학교폭력전문상담사는 지역별로 1명씩만 배치돼 있는 것으로 파악돼 효과적인 학교폭력 예방 및 상담 등의 제대로 된 역할을 기대하기가 어려워 보인다. 특히 학교폭력 건수가 낮은 일부 지역에서는 전문상담사가 학교폭력 관련 업무가 아닌 다른 업무를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도교육청의 명확한 역할 규정도 필요해 보인다.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015년 말 기준 도내에서는 총 786건의 학교폭력에 대한 심의가 이뤄졌다. 그 중 전주시 213건(27.1%), 군산시 145건(18.4%), 익산시 101건(12.8%) 등 3개 지역이 전체의 58.3%에 달했다. 즉 10건 중 6건 정도가 이들 지역에서 일어나는 셈이다. 반면, 장수군과 순창군은 각 8건(1.0%), 무주군 12건(1.5%), 임실군 15건(1.9%), 진안군 16건(2.0%), 고창군 21건(2.7%), 부안군 29건(3.7%) 등은 상대적으로 적은 건수를 보이고 있다. 학교폭력이 빈번하게 발생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격차가 약 20배 가량 난다. 현재 전문상담사는 본청에 1명, 각 시·군 교육지원청 별로 1명씩, 도내에 총 15명이 배치돼 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자. 학교폭력이 자주 발생한 지역에 전문상담사가 그렇지 않은 지역보다 많아야 하는 것 아닌가. 60% 정도의 학교폭력이 전주와 익산, 군산에서 발생한다면 이들 지역에는 전문상담사를 증원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야 효과적인 상담을 할 수 있지 않겠는가. 그런데도 도교육청은 인건비 등 예산확보를 핑계 대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미숙한 학교 행정이다. 학교폭력에 대한 후폭풍이 얼마나 거센지는 도교육청도 잘 알 것이다. 피해 처리에 얼마나 고생할지도.. 학교와 학생, 학부모 등은 모두 도교육청을 바라보고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또한 학교폭력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전문가와 상담을 원하는 경우도 얼마나 많을지 생각해야 한다. 도교육청에 더 바라는 것은 상담사의 전문성이 학교 현장에서 실제 반영 될 수 있도록 학교폭력 전담기구 사안조사과정이나 갈등해소 모임 운영에 상담사가 적극적으로 투입돼야 한다고 본다. 도교육청은 학교폭력전문상담사 제도가 제대로 정착되고 학교와 학생, 학부모 등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적극적인 행정을 펼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