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한우농가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인재(人災)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축산농가에서 비용 부담으로 인해 백신을 접종하지 않는 도덕적 해이와 방역당국의 관리 허점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전북도는 7일 정읍 한우농가에서 발생한 구제역과 관련해 “농가의 소 20두를 검사했더니 1마리만 항체가 형성돼 있어 항체 형성률은 5%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이 농가는 지난해 8월 26일 마지막으로 접종한 것으로 서류상에 나타나 있는데 5개월이 안 된 상태여서 효력이 있어야 정상”이라며 “항체 형성률이 5%라면 접종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는 백신 접종을 한 소의 평균 항체형성률이 97%에 달한다고 밝힌 방역 당국의 판단과는 판이하게 다른 결과다. 앞서 구제역이 처음으로 발생한 충북 보은의 젖소 농가의 19%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때문에 이 농가에서 실시한 예방접종이 형식적으로 이뤄진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농가에서 비용 부담으로 인해 백신 접종을 기피하거나, 백신을 충분히 녹이지 않고 접종해 효과가 없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백신을 맞힐 경우 소가 유산한다는 소문이 돌아 일부러 백신 접종을 회피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그동안 구제역 검사는 돼지 중심으로 해왔고 소는 전체의 10%만 표본검사를 해왔기 때문에 허점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같은 발표 내용에 대해 정읍 한우농가 농장주는 억울함을 호소했다.
농장주는 “농림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생애주기 별로 잊지 않고 4∼5개월 마다 예방 접을 했는데 예방접종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말을 이해할 수 없다”라며 “40년 동안 소를 키워 온 지혜를 살려 예방 수칙 등을 준수하고 소의 건강을 돌보는 데 모든 힘을 썼다”고 항변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이번 구제역으로 전북도의 한우고기 수출에 직격탄을 맞게 됐다.
전북도는 지난해 구제역 발생으로 중단됐던 한우고기 홍콩수출을 지난달 19일 1차 수출에 이어 이달 6일과 8일 수출 일정이 잡혀 있었다.
하지만 이번 정읍의 구제역 확진으로 1년을 기다려 가까스로 회복한 수출 위생조건이 한 달도 버티지 안 돼 또다시 물거품 될 처지에 놓인 것이다.
도 관계자는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다방면으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라며 “예방접종은 2∼3일 이내에 마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