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4차 산업혁명이 화두다. 기업들이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경쟁력을 제고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일컫는 게 4차 산업혁명이다. 이에 앞선 세 차례의 산업혁명을 살펴야 그 뜻이 명쾌해진다. 우선 1차 산업혁명은 1784년 영국에서 일어난 것으로 증기기관과 기계화가 주도했으며 2차 산업혁명은 1870년대 전기를 이용한 대량생산과 자동차시스템이 가져온 생산성 향상이다. 그리고 3차 산업혁명은 1969년부터 인터넷이 이끈 컴퓨터 정보화 및 자동화 생산 시스템의 발달이다.
   아직 이에 대한 개념이 확립된 것은 아니다. 혹자는 아직도 3차 산업혁명시대라고 주장하는 이도 있다. 하지만 대략 합의를 이룬 것은 2000년대 이후 기술혁신과 제조공정의 디지털화, 인공지능 기반의 플랫폼 비즈니스 등의 4차 산업 혁명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4차 산업혁명이 유토피아를 만드는 것만은 아니다. 기술혁신과 산업구조 혁신이라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이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점도 하나 둘이 아니다. 가장 걱정스런 대목은 일자리 감소다. 국제노동기구는 앞으로 20년간 아시아 근로자 1억3700만 명이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4차 산업혁명’을 쓴 클라우스 슈밥은 4차 산업의 수혜자는 혁신가, 투자자, 주주와 같은 지적 물적 자본을 제공하는 사람이라며 노동자는 수혜대상에서 제외했다. 오히려 노동자의 위치가 더 약해져 자본가와의 부의 격차가 갈수록 커질 것이라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일자리 외에도 4차 산업혁명은 경제사회에 심대한 영향을 준다. 소비자들은 윤리와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에 봉착할 것이고 고령화와 지정학적 변동성 확대도 4차 산업혁명이 부를 후폭풍이라고 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삼성 KPMG경제연구소가 최근 이슈 모니터 보고서에서 미래사회는 4차 산업혁명으로 ‘초연결 사회’로 진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초연결 사회는 사람과 사물, 공간 등이 인터넷을 매개로 연결돼 정보의 생성과 수집, 공유와 활용이 이뤄지는 사회라고 지적했다. 예컨대 현금 없는 사회, 지능형 교통시스템, 원격 의료서비스, 지능형 재난 안전망 등이다.
  정말 세상은 무섭게 변하고 있다. 선진국들은 4차 산업혁명을 오래전부터 능동적으로 대비해오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아직 기술도 처지고 투자도 빈약해 걱정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우리는 그간 산업화에 뒤져 오랜 기간 고생을 했다. 만약 4차 산업혁명의 물결에서도 밀려난다면 큰일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