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전북지역 소비자물가가 3개월 연속 1%대를 기록하며 주부들을 주름지게 하고 있다.
전년동월비 1%대 물가상승율은 2년만으로, 소비부진 속 이러한 물가 상승율은 소비자에게 상대적으로 크게 느껴지는 수준이어서다.
1일 호남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전북지역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도내 물가지수는 110.1로 전년동월대비 1.0% 상승하며 3개월 연속 1%대 상승율을 기록했다.
지난 9월 전년동월비 1.1% 상승한 도내 소비자물가는 10월 역시 1.1% 상승율을 유지하는 등 일단 '연간 1%대 물가상승율'이라는 정상적인 범위에 들어선 모습이다.
연간 최소 1%대의 물가상승율을 보여야 기본적인 소비가 이뤄지고 있음을 반증하고, 이는 곧 상품 재생산 및 고용 증가, 소비 활성화와 물가상승 등 선순환구조로 이어진다는 경제발전 논리에 다시 탑승한 셈이다.
실제 지난 2014년 11월 0.8%, 2015년 3월 -0.3% 등 도내 소비자물가는 1%대를 지속 하회하며 한 때 디플레이션 우려까지 나오기도 했었다.
지난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이뤄냈던 시기에는 연간 물가상승율이 최소 1.1%부터 최대 4.9%까지를 기록하며 경제발전 논리와 물가가 맞아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2012년경부터 장기불황이 예고됐고, 물가상승율은 2013년 1.2%, 2014년 1.1% 등 이전에 비해 크게 하락했는데도 실제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물가는 예전보다 컸다.
경기불황이 가계에 반영되고, 소비부진이 지속되는 속에 2015년 마이너스 물가가 지속되는데도 주부들의 장바구니 물가는 '너무 오르는 느낌이다'는게 중론이었다.
그런데 올해 연말 맥주, 콜라 등 생필품들의 기습 인상이 3년만에 이뤄졌고, 여름 폭염 등 이상기온의 영향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크게 오르며 체감물가를 급상승시키고 있다.
이에 2002년~2011년 3~4%대의 물가상승율 속에서 느낀 물가보다 지금의 1%대 물가가 더욱 크게 다가온다는 하소연이다.
11월 도내 농축수산물은 각각 농산물 5.2%, 축산물 3.4%, 수산물 5.3% 등 전년동월대비 평균 4.7% 상승하며 물가상승율을 이끌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가계 주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도 전년동월비 1.8%나 올랐는데, 집세가 0.7%, 공공서비스 1.0%, 개인서비스는 2.3%까지 올랐다.
전세비 1.5% 상승을 비롯, 하수도료 22.2%, 쓰레기봉투 17.8%, 관리비 4.5%, 식당 소주 12.7%가 올랐다.
다행히 도민들이 느끼는 전체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동월비 0.8% 상승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신선식품지수가 전년동월비 11.1% 상승하는 등 주부들이 장을 보면서 느끼는 물가 상승율은 끔찍할 수밖에 없다.
이를 대변하듯 배추가 전년동월비 83.2%, 무 126.9%, 토마토 90.2%, 파 35.7%, 오징어 35.7%, 마늘 9.8% 상승한 가격에 판매되는 등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들 품목 대부분이 전월비 10~45% 하락했음에도 주부들이 쉽게 구매에 나서지 못하는 이유이다.
한편, 저유가 여파로 도시가스가 14.4%, 휘발유가 3.6% 하락했으나, 최근 산유국들이 감산을 결정해 연초 관련물가 상승세도 우려되고 있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