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의 가계대출 상승세가 가파르다.
특히 도내의 경우, 소득보다 가계부채가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상승하는 추세다.
이에 전북지역의 가계대출에 대한 현재와 안정적인 관리에 관한 대책 마련 등에 대해 짚어봤다./편집자 주

▲급증하는 전북지역 가계대출
도내 금융기관 여?수신은 모두 증가폭이 축소되는 상황이지만, 가계대출은 여전히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16일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3월 중 전북지역 금융동향’에 따르면, 3월 말 금융기관 가계대출 금액은 20조 495억 원으로 전월말 대비 2023억 원이 증가했다.
이 같은 가계대출 상승세는 지난 2월말과 비교해도, 마찬가지다.
‘2월 중 도내 금융동향’을 보면, 2월 말 금융기관 가계대출 잔액은 19조 8465억 원으로 전월말 대비 828억 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달 연속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
도내 가계대출은 전국적으로 비교해도 증가폭이 빠른 편이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전북지역 가계대출 리스크 평가 및 시사점’ 자료를 보면, 도내 가계대출은 지난해 8월 말 현재 32조 6000억 원으로 2010년부터 2014년 중 연평균 증가율이 11.1%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 평균 수치인 5.6%, 강원, 경북, 경남, 충북, 충남, 전남 등 6개도의 9.9%보다 높은 수준이다.
2010년부터 지난해 8월 중 도내 가계대출 누적증가율은 65.1%로 전국 16개 시․도 중 5위 수준이다.
가장 큰 문제는 무엇보다 ‘소득’보다 ‘가계부채’가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011년 6월 말 도내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29.4%로 나타났지만, 지난해 6월 말 기준 137.1%로 급증했다.

▲도내 가계대출의 중심 ‘주택담보대출’
도내 가계대출을 종류별로 보면, 신용대출이 전체 가계대출의 55.1%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8월 말 기준 도내 주택담보대출은 14조 6000억 원이었으며, 신용대출은 18조 원으로 조사됐다.
눈에 띄는 점은, 금액은 신용대출이 주택담보대출보다 높지만 대출 비중은 주택담보대출이 신용대출보다 훨씬 빠른 증가세를 보인다는 것.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지난 2010년 말 39.6%보다 지난해 8월 말 44.9%로 5년 만에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금융기관별로 살펴보면, 은행권은 주담대를 중심으로, 비은행은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이뤄지는 모습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전북지역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4년 말 현재 44.9%로 전국(55.0%)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는 걸로 조사됐다.
이는 비은행기관인 신용협동기구의 주택담보대출이 빠르게 증가한 데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2010년 31.7%에서 지난해 8월 38.3%로 늘었다. 
신용협동기구의 경우, 예금은행에 비해 자본 규모가 작아 리스크 감내력이 취약하다는 점에서 부동산경기 둔화 시 부실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도내는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주택가격 상승 여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도내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증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이자부담’ 가중
도내의 가계대출은 상위등급을 중심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중하위등급은 정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전국의 신용등급별 비중 변화와 유사한 모습이다.
도내 가계대출의 신용등급별․금융기관별 분포를 보면, 상위등급 차주의 비중은 은행이 49.5%, 중하위등급 비중은 신용협동기구가 각각 51.3%, 52.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개도 평균의 경우, 도내보다 중하위등급 차주의 비중이 신용협동기구에서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다.
도내 신용등급별 차주 1인당 가계대출 잔액은 6개도 평균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상위등급에서는 전국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다. 단, 1인당 대출 잔액은 10등급이 7~9등급에 비해 오히려 많은 상황이다.
전북지역 차주 1인당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액은 2700만 원. 6개도(2900만 원) 및 전국 평균(3100만 원)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추정되지만, 하위등급으로 갈수록 이자부담액이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내의 차주 1인당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액을 보면, 1~2등급 2500만 원, 3~4등급은 2600만 원, 5~6등급 2800만 원, 7~8등급 2800만 원, 9~10등급은 2900만 원으로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소득 대비 가계대출 이자부담 비율은 상위등급(1~3등급)이 6개도 및 전국평균보다 낮은 반면, 중위등급(4~8등급)에서는 높은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에 중위등급의 이자부담과 그에 따른 부실 위험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가계대출 급증 대책 마련 절실
도내의 가계대출의 증가속도는 전국에 비해 빠른 편이나, 단기간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은행에 비해 비은행 금융기관의 잠재적 부실위험이 높다는 게 가장 큰 특징.
또한 중하위등급의 이자부담이 높고, 주택가격이 보합세를 보이는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신용등급 중하위그룹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경기변동 등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금융기관은 차주의 소득, 순자산 등을 감안해 채무상환능력의 적정성을 보다 면밀하게 심사할 수 있는 역량을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금융당국은 비은행기관의 가계대출 관련 자체 리스크 대비책이 제대로 수립?시행되고 있는지를 수시로 점검하고 지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한국은행 전북본부 관계자는 “현재 도내의 경우도 시중은행의 여신심사 기준이 엄격하기 때문에 비은행 쪽 가계부채 증가율이 커지고 있는 흐름이 있다”며 “정책적으로 서민금융상품으로 대환하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유도하고 있고, 개인적으로 합리적인 포트폴리오 등을 구성해 개인채무를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박세린기자․iceblu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