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수도권과 지방 간 뇌졸중 사망률 편차가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7일 대한뇌졸중학회의 2011~2013년 전국 251개 지방자치단체의 평균 뇌졸중 사망률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북지역이 전국 17개 광역 자치단체 중 인구 10만 명 당 평균 뇌졸중 사망률 41.1명으로 확인됐다.

이는 울산 44.3명과 인천 42.3명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치다.

반면 전국 17개 광역 자치단체 중 인구 10만 명 당 평균 뇌졸중 사망률이 가장 낮은 곳은 제주도로 26.7명을 기록했다.

이어 서울 28.7명, 충남 34.8명, 경기 35.2명, 대전 35.4명, 강원 36.6명, 광주 36.7명, 경남 37.2명, 경북 37.8명, 충북 37.9명, 전남 38.7명, 대구 39.3명, 부산 39.7명, 세종 41.0명, 전북 41.1명, 인천 42.3명, 울산 44.3명 순이었다.

시·군구 기준으로 사망률을 살펴보면 경남 고성군이 57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경기 동두천시 53.3명, 울산 북구 52.8명, 충남 연기군 51.1명, 부안군 49.4명 등은 뇌졸중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확인됐다.

뇌졸중 사망률이 낮은 지역은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으며 서울시 서초구가 10만 명 당 19.4명을 기록해 사망률이 가장 낮았다.

이어 경기도 과천 20.2명, 서울 강남구 21.9명, 경기도 기흥 22.4명, 경기도 수지 23.1명 등 순이다.

전북지역 사망률을 살펴보면 장수군 29.4명으로 사망률이 가장 낮았으며 임실 30명, 무주 31명, 남원과 김제가 각각 37명, 고창 39명, 익산과 순창이 각 41명, 전주시 완산구 42.2명, 군산 46.1명, 정읍 46.8명, 완주 47.6명, 부안군 49.4명 순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뇌졸중 사망률의 지역 간 편차가 심한 원인으로는 뇌졸중을 치료할 수 있는 전문치료실이 있는 병원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라는 게 뇌졸중학회의 분석이다.

전북지역에는 국가지정 뇌졸중 전문치료실이 원광대병원 1곳에 불과하다.

학회 관계자는 “140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뇌졸중 전문치료실 설치율을 분석한 결과, 뇌졸중 전문치료실이 있는 62개 병원 중 36개(58%)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인적 자원 부족, 별도 수가부재, 공간부족 등의 요인으로 수도권에 뇌졸중 전문치료실이 집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고 말했다.

이어 “뇌졸중 전문치료실의 지역적 불균형은 환자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흔히 ‘중풍’이라 불리는 뇌졸중은 뇌에 혈관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가 손상되는 뇌혈관질환으로 심할 경우 생명을 잃을 수 있고 반신마비, 언어장애 등 후유증이 남는다./신혜린기자·say329@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