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가 올해부터 전면 시행된다.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1학년 1학기~2학년 2학기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시험에서 벗어나 적성과 미래를 탐색·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다.
교육부는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으로 초·중등교육을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유학기제 어떻게 시행되나
자유학기제 운영 학기는 중학교 1학년 1학기에서 2학년 1학기 중 학교장이 교사들과 학부모들의 의견을 수렴해 탄력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교육부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는 학부모(58.2%)와 교사(65.7%)는 1학년을, 학생(41.1%)은 2학년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도입 기간이 정해진 학교는 관련 활동을 170시간 이상 편성하고, 중간·기말고사와 같은 지필시험은 치르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오전 수업은 블록타임(Block-Time), 코티칭(Co-Teaching), 코러닝(Co-Learning) 등과 같은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진행되고, 오후는 동아리나 예술·체육·진로탐색과 같은 활동을 하게 된다.
고입에는 자유학기의 교과 성적은 반영하지 않는 대신 자유학기 활동에서 보인 출결과 행동특성, 종합의견 등 비교과 내용은 서술식으로 반영된다.
학생들이 교문 밖으로 나가 직접 경험하는 진로체험은 2회 이상 실시된다. 교육부는 지난해 11월 기준 7만8993개 체험처에서 16만3616개의 프로그램을 확보했으며, 이는 내년 중학교 1학년 46만8762명 기준(10명 단위 2회 체험, 체험처 당 2개 프로그램 가정)으로 잡을 경우 필요한 4만6884개 체험처의 9만3768개 프로그램을 훨씬 웃도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농산어촌 자유학기제 체험활동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진로체험버스(2015년 368교 → 2016년 1028교) 및 원격영상 진로멘토링(1028교, 2015.10월~)을 확대 운영하고, 공공·민간이 제공하는 양질의 진로체험 지원 프로그램을 농어촌에 우선 배정하는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교육부는 자유학기제가 차질 없이 시행되게끔 학교당 2000만원의 예산을 특별교부금으로 지원하고, 교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컨설팅 등도 병행하기로 했다.

▲자유학기제에 대한 우려도 여전
자유학기제는 3년의 시범운영 기간을 거쳐 올해 전면 시행에 들어가지만 그동안 드러난 문제점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자유학기제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체험학습장과 체험프로그램, 인력풀 등의 인프라 조성 과정에서 학교 현장은 많은 어려움을 토로해왔다.
교사들의 경우 학교 밖 활동 확대와 새로운 행정업무 및 평가방식 등에 대한 부담 등으로 인한 고충이 우려됐다. 자유학기제와 관련해 업무담당자에게만 과도한 부담이 지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학생과 학부모 또한 시험이 없는 자유학기제를 일종의 ‘노는 학기’로 인식, 학업 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사교육 의존이 심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북교육청의 경우 자유학기제에 대비해 22곳의 거점중심학교를 선정하고 인근에 자리잡은 자유학기제 미경험 학교와 소통하며 업무담당자협의회, 학교장협의회, 수업공개 등을 진행해왔다.

▲전북형 자유학기제 성공하려면
전북교육정책연구소가 지난 11월 발표한 ‘전라북도 자유학기제 현황 분석 및 운영방안 연구’에 따르면 도내에서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고 있는 중학교들은 자유학기제에 따른 교육활동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농촌학교와 도시학교, 소규모학교와 대규모학교 간 차이가 있어 전북형 자유학기제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는 지역 여건 및 학교 규모에 맞는 운형 모델이 개발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학교의 여건과 특성에 맞게 학교가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지역별 특성 또는 학교 규모, 지역사회의 교육환경 여건, 학교 구성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운영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시지역 대규모학교는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과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고, 학교 밖 체험시설 접근이 쉽지만 학급당 학생수가 많아 실질적인 학교 밖 진로체험을 운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럴 경우 지역사회의 자원과 환경을 충분히 이용해 교과와 연계된 다양한 체험활동 및 선택 프로그램 운영을 할 수 있다.
반면 지역사회 인프라가 부족한 농어촌 소규모 학교는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태자원을 활용한 체험활동 및 특기적성 교육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설계·운영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김승환 교육감은 최근 “자유학기제 내용을 뜯어놓고 보면 이미 우리 교육청이 하고 있는 정책과 유사한 것들이 많다”면서 “교육부의 지침을 무작정 따라가기보다는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최대한 지켜주며 개입을 최소화하겠다”는 원칙을 밝혔다.
/김지혜기자·kjhwjw@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