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확보한 내년도 국가 예산가운데 낙후 동부 권에서 추진될 신규 사업이 적지 않게 포함돼 도내 지자체간 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 주고 있다. 총 6조568억 원 규모로 확정된 내년도 전북지역 국가사업 가운데 지덕권 산림치유원 조성사업을 비롯해 지리산 산악철도 시범사업, 태권도원 수련관신축, 한국형유용균주 산업화기반구축 사업 등이 포함돼 국비지원이 이뤄지게 됐기 때문이다.

전북도를 비롯한 도내 정치권이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과정에서 특히 미래성장 동력사업부재로 지역주민의 상대적 박탈감이 컸던 동부권 신규 사업 반영을 위해 나름의 노력을 했음을 후일담으로 적극 부각시켰을 만큼 전북동부권 시군들의 ‘서해안에 치우친 전북개발’에 대한 반발은 적지 않았다. 전북지역 동부권 6개시군 자치단체들이 별도의 시장군수협의회를 창립하고 정부와 전북도에 적극적인 균형개발에 나서 줄 것을 요구할 정도였다. 도의 모든 정책과 개발이 대 중국을 겨냥한 ‘서해안 시대’에 맞춘 서부권지자체 지원에 집중된데 따른 소외감이 극에 달했던 것이다.

물론 동부권 지자체의 반발이 나올 때 마다 수조원대의 개발계획이 발표된 게 한두 번이 아니다. 지방선거는 물론 총선, 대선에서 까지 지역개발을 위한 사업추진 약속이 남발되기도 했다. 하지만 수 십 년 전이나 지금이나 동부권 6개 시군 발전 정도는 정체 내지는 후퇴와 쇄락으로 요약될 만큼 경쟁력을 잃고 있다. 산악지대가 많은데 따른 지역적 특성에 접근성마저 떨어지면서 어찌 보면 여름이나 겨울한철 잠깐 찾아주는 관광객들만이 유일한 외부와의 접촉일 만큼 잠자는 도시가 된지 오래전인 곳이 이곳 시군들인 것이다.

이번에 확보한 신규사업예산 역시 대부분 관광과 연관된 사업들로 분류된다. 규모가 작지 않지만 부가가치창출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따라주지 않는 한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주민들이 원하는 지속적인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사업이라 볼 수도 없다. 그럼에도 의미를 부여하는 건 이 지역엔 그만큼의 기반조차 없을 만큼 모든 여건이 취약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지금보다 더한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신규사업발굴과 정책적지원이 병행돼야 한다. 낙후지역탈피를 위한 균형개발의 효과가 나타나기 까지는 개발에 방치된 세월보다 더 많은 시일이 소요될 수도 있다. 내년의 사업추진은 결실이 아니라 시작에 불과한 이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