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약이 무효다. 전북에선 오히려 부작용만이 나타난다. 청년고용대책을 두고 하는 말이다. 정부가 매년 청년고용을 늘리겠다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오히려 취업을 위해 전북을 떠나는 젊은이는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타 시도에서 전북으로 전입해온 인원은 7만 612명이었던데 반해 지역을 떠난 인구는 7만3175명이었다. 고질적인 전북의 인구감소 현상이 지속된 것으로 특히 대학졸업을 앞두고 있거나 졸업 후 취업을 준비하는 25~29세 사이 젊은 층의 전북이탈이 원인으로 지적되는 취업자 수의 감소세가 심각한 수준이다.    
정부정책이 특정지역 청년일자리만을 늘려주는 것이 아님에도 지역의 젊은이 들이 전북을 떠나는 근원적 이유는 간단하다. 일자리가 없어서다. 대부분 비정규직이나 저임금 노동을 필요로 하는 전북 노동시장이 근본적인 전환의 기회를 맞지 않는 한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수밖에 없단 점에서 큰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지난 2013년 10월 발표한 ‘중소기업 인력 미스매치 해소대책’에서부터 최근의  ‘청년 고용절벽 해소 종합대책’에 이르기 까지 현 정부 들어 발표된 청년취업 대책만도 6건이나 된다. 하지만 고용률은 오히려 뒷걸음질이고 지방의 상황은 더더욱 악화되고 있다. 여기에 베이붐 세대 자녀가 내년부터 대거 노동시장에 진입하게 돼 향후 3년간 청년층 실업은 악화될 가능성이 많단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면서 기업의 신규 채용수요는 감소하는데 기업들의 정년이 연장되는 것 역시 청년고용 활성화의 또 다른 걸림돌이 되고 있기도 하다.
지금까지의 정부정책이 실효성이 없음이 확인된 만큼 새로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실업률만을 의식한 단기고용 이나 당장 급한 대로 저임금에 시간제 일자리 만들기가 전부인 것으로 보이는 지금의 정부정책으론 청년 고용난을 절대 해소할 수 없다. 더구나 기업이 없어 일자리자체가 부족한 전북등 지방을 위한 정부의 맞춤형 청년고용대책은 무엇보다 앞선 시급한 현안이 되고 있다.  
2017년 까지 12만5000개의 일자리를 만든다는 정부지만 이를 그대로 믿는 청년들은 없다. 고용정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에 이은 신뢰를 줄 수 있는 획기적인 특단의 조치가 마련돼야 한다. 지역 청년들의 일자리 부족 문제가 국가 재난의 수준에 까지 왔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