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인구가 5년후엔 180만명을 넘어서고 15년 후엔 182만6000명선으로 까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25년 후인 2040년의 전북지역 65세 이상 인구는 전남, 강원, 경북 다음으로 많은 초고령화사회로 진입하게 돼 지역 생산성확대와 지역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을 지금 서둘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남지방통계청의 내놓은 '2014 사회지표'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향후 호남에서 광주, 전남 인구는 매년 줄 것이란 전망과 달리 전북인구는 지난해 179만7000명에서 2020년 180만6000명, 2030년 182만6000명을 최고로 정점을 찍은 뒤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나온다. 이 같은 배경엔 물론 새만금사업이 있다. 개발이 끝나 기업이 가동을 시작하면 인구가 늘면서 호남에서 가장 큰 광역단체로 자리매김할 것이란 예상이다.
한때 200만명을 훨씬 넘는 인구가 지역을 지켰지만 산업화가 가속되면서 시작된 인구유출은 경제력 약화는 물론 정치력위상까지 떨어뜨리고 있다. 총력을 다 해 기업을 유치하고 일자리를 늘려 인구유입의 시너지가 생기도록 하겠다고 하지만 당장 효과는 미미하다. 귀농귀촌의 1번지라며 수도권과 도시민의 전북정착을 유도하는 정책 역시 타지자체와의 보이지 않는 경쟁에 큰 성과를 거두는 데는 분명 한계가 있다. 이런 상황에 새만금 이라도 있어 인구유입에 대한 기대를 할 수 있게 됐기에 그동안 이사업의 매달린 도민들의 염원과 맘고생이 빛을 볼 수도 있겠구나 하는 예상에 긍정의 평가가 내려진다는 것이다. 아직도 갈 길이 먼 새만금 사업을 반드시 성공적으로 마무리해야 한다는 새로운 부담감이 주어지는 건 이 때문이다. 
하지만 오래도록 번성하고 풍요로움을 이어가야할 ‘사람이 몰려 사는 전북’의 기대가 2030년까지란 게 새로운 걱정이다. 인구가 줄기 시작한다는 건 성장 동력이 힘을 다했음을 의미한다. 여기에 아직 본격적인 준비도 안 된 초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타도에 비해 훨씬 빨리 전개될 것이란 전망 역시 벌써부터 짙은 어둠을 드리우는 큰 두려움이 아닐 수 없다.
인구고령화로 생산성이 둔화되고 저성장이 고착화되면 전북의 경쟁력은 없음이다. 삶의 질이 아닌 생존을 걱정해야 할 상황을 맞게 해선 안 된다. 두려운 미래의 준비는 전북의 성장엔진이 강력하게 힘을 낼 때 시작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