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공유경제에 대한 논의가 화두다. 공유경제란 물건을 소유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빌려 쓰는 경제활동이다. 2008년 미국 하버드 법대의 로런스 레식 교수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그는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소비를 기본으로 하는 경제방식이라는 뜻으로 이 말을 사용했다. 예컨대 자신이 차를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시간과 상황이 맞으면 다른 필요한 사람들에게 돈을 받고 태워준다는 식이다.
   그런데 이 용어가 요즘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편에서는 경기 침체나 자원 낭비, 환경 오염 등에 대한 대안으로 공유경제를 긍정적 시각으로 보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신뢰도 문제나 탈세 등의 가능성을 들어 부정적 견해를 보이고 있다.
  우선 긍정적 시각부터 살피자. 찬성하는 사람들은 공유경제 서비스를 이용하면 우선 생활비를 줄일 수 있고 편리하며 어느 정도 돈벌이도 가능한 일석이조,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다고 본다. 특히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은 사람이나 꼭 필요치 않은 필요한 방이나 물품들을 갖고 있는 편에서는 더 이상 합리적일 수 없다.
  반면 당국에 등록하고 영업을 하는 사업자들은 불만이 많다. 허가나 등록을 하지 않고 영업을 하는 행위는 불법이며 탈세 등 부차적인 일탈도 저지를 수 있다. 또 빌려주는 사람의 신뢰도가 불분명한 만큼 이용자들이 속거나 아예 범죄의 희생자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차량 공유 서비스인 우버와 숙박 공유 서비스인 에어비앤비가 들어와 시비가 붙고 있다. 우버는 정부의 단속으로 사실상 퇴출 상태고 빈방이나 빈집을 빌려주는 에어비앤비도 논란에 휩싸여 있다. 반면 해외에서는 이들 서비스가 승승장구해 우버의 기업가치가 무려 410억 달러를 돌파했는가 하면 에어비앤비도 시가총액 255억 달러를 넘어섰다는 보도다. 우리나라에서도 자전거나 도서, 의류 등 물품을 빌려주고 빌려 쓰는 형태의 공유경제는 서서히 뿌리를 내리는 중이다.
  공유경제의 미래는 현재로선 확실치 않다. 나누면 더 커진다는 원리는 맞지만 여전히 상도덕이나 실정법과의 충돌 가능성은 남아 있다. 그렇지만 ICT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달하는 세상에서 법이나 윤리성 등으로 이를 규제하기란 매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아예 사계의 석학들은 20년후 쯤 되면 공유경제의 확산으로 자본주의나 사회주의가 힘을 잃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어쨌든 이 문제를 사소한 유행 정도로 가볍게 볼 일은 아닌 것 같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