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농업 육성을 자랑하던 전북지역 친환경농산물이 내우외환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친환경 농가가 급격히 감소한데다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이 갈수록 줄고 있고, 외부에서는 친환경 인증 규정을 위반한 농가들이 대거 적발되면서 소비자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전북도에 따르면 8월말 현재 도내 친환경 농산물 인증 농가는 6529곳으로 해당 면적은 7702㏊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 7476농가의 8667㏊보다 농가수는 947농가, 재배면적은 965㏊나 감소한 수치로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기 상종가에도 불구하고 도내 재배면적은 되레 감소하는 ‘엇박자’를 보였다.

특히 친환경 농업 육성이 본격화됐던 2009년(1만2563ha·1만1937농가)에 비해서는 4861㏊, 5408농가가 각각 감소했다. 보통 축구장 1개면이 7140㎡인점을 감안할 때 무려 6800여개에 달하는 엄청난 면적이 도내 지역에서 사라진 셈이다.

도내 친환경 인증이 줄어드는 것은 저농약 인증제 중단과 소규모 농가들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판로 확보, 소득에 대한 불안감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현재 도내 지역에서는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체계적인 유통 주체가 사실상 없는 실정이며 소규모 농가들의 경우 안정적인 판로를 찾지 못하면 1년 농사를 망칠수 있다는 막연한 불안감이 높아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외부 상황 역시 녹록지 않은 실정이다. 도내 친환경인증 농가에 대한 전수조사에서 인증 위반사례가 대거 드러나면서 신뢰도에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지난 7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전북지원이 친환경 인증을 취득한 도내 4389농가에 대한 특별 단속을 실시한 결과, 농약사용 등의 기준을 위반한 233개 농가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이는 조사가 이뤄진 농가의 5.3%가 인증 기준을 위반한 것이다.

따라서 친환경농업이 FTA 확대 등으로 국내 농업 위축이 현실화되면서 고부가가치 친환경농업 육성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활성화를 위해 인증과 관련된 구조적인 문제 해결과 안정적 유통망 구축·실질적 소득보장 등의 조치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도 관계자는 “저농약 신규인증이 중단되면서 도내 친환경농업 인증면적이 크게 감소했다”며 “향후 농업분야에 지원되는 사업에 친환경농업 활성화를 연계해 단계적으로 확대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도는 올해 친환경농업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635억원 보다 5%가량(30억원) 늘려 665억원으로 친환경농업 지원사업 예산을 편성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