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풍작과 축산물 소비 호조 등에 힘입어 농가 수입 증가율이 1994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전북지역 농가소득 및 자산 등은 전국 꼴찌에서 두 번째일 정도로 영세 영농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농가 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농가의 가구당 총소득은 3,452만 원으로 2012년보다 11.3% 늘었다.
이는 지난 1994년 전년대비 20% 증가를 기록한 이후 20년 만에 최대 증가율이다.
소득종류별로는 전년대비 농업외소득이 15.6%, 농업소득 9.9%, 비경상소득 8.7%, 이전소득 4.1% 등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 중 가구당 농업소득은 9.9% 늘어난 1,003만 원이었다. 지난해 기상여건이 좋아 과실 등 농작물의 판매수입이 늘어난 것이 수익증가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농업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농작물수입이 2012년보다 5.5% 증가했고, 축산수입은 45.1%나 급증했다.
통계청은 "작년 작황이 좋아 농작물 수익이 증가했다"며 "2012년 구제역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되고 계란과 우유 가격이 오르면서 축산부문 수입이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농가 가구당 농업외소득도 전년대비 15.6% 늘어난 1,570만 원을 기록했다.
농산물가공업·농업서비스업 등에 종사한 데 따른 겸업소득, 급료수입·농업노임 등 사업외소득 등이 증가한데 따른 것이다.
때문에 농가가 겸업할 경우 전업농가에 비해 농가소득이 크게 높았다.
한편, 전국적인 농가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북지역 실질 농가소득은 경남(2,995만 원)을 제외한 전국 꼴찌를 기록하며 '농도 전북'임을 무색케 했다.
특수작물을 키우는 제주의 평균 농가소득이 4,164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가 3,975만 원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반면, 전북 농가소득은 전국 평균 3,452만 원에도 크게 못미치는 3,087만 원으로, 경남보다 겨우 92만 원 많았다.
자산 규모에서도 땅값이 비싼 경기가 8억890만 원으로 1위를 차지했으나, 전북은 전국 평균 4억58만 원과 크게 차이나는 2억7,372만 원을 기록하며 전남(2억4,238만 원)을 제외하곤 최하위에 머물렀다.
농가 부채의 경우 전북 농가는 평균 2,161만 원으로 전국평균 2,736만 원보다 575만 원 적었으나, 자산대비 부채비율로 보면 7.90%의 부채를 안고 있어 전국평균 6.83%보다 갚아야 할 채무 체감도 역시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와 관련, 완주군 전업농 A모씨(51)는 "가난한 농가는 더 가난해지고 부유한 농가는 더 부유해지는 농가 소득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며 "여기에 농촌 고령화가 가속되면서 영세농가의 소득하락이 심화되고 있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가 여기에 초점을 맞추고 영농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