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해상풍력산업 추진 로드맵이 3차례의 발표 연기 끝에 공개된다.
잠재력이 큰 해상풍력을 수출 상품화하고 세계 3위 강국 실현을 위한 기술개발과 실증, 해외진출이라는 큰 그림을 내놓겠다는 것.
정부 해상풍력산업 로드맵의 해상풍력발전단지사업 대상지로 부안 위도도 포함돼 있다.
하지만 이를 통한 전북의 기업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하기만 하다.
▲ 정부의 로드맵에는 무엇이 담겨 있나 = 지식경제부는 풍력의 수출 산업화 촉진을 통해 세계 시장 선점을 목표로 부안 위도-전남 영광 안마도 인근 해상에 내년부터 2019년까지 9년 동안 총 9조2590억원을 투입, ‘서해안 멀티(Multi)-GW급 해상풍력발전단지사업(Top-3)’을 추진할 계획이다.
1단계로 내년부터 2013년까지 6166억원을 들여 100MW급 실증단지 구축과 실적 및 단지설계기술 확보한 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조414억원을 투자, 900MW급의 2단계 시범사업을 통해 기술·정책 확립 및 운영기술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멀티(1.5GW) GW급 대규모단지 개발에 5조6590억원을 투입한다는 정부의 풍력산업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담아냈다.
나아가 2019년 이후 전국 지자체의 협조 하에 7.7GW규모로 확대하는 장기적 목표를 가지고 있다.
▲ 해상풍력산업, 전북에 득이 있나 = 지경부는 실증연구단지와 시범사업단지를 부안 위도와 영광 안마도 인근 해상으로 조성할 계획으로 고창시험장변전소로 계통 연계한다. 그러나 이후 1.5GW급 대규모단지는 안마도 서쪽 해상으로 계획돼 있다.
무엇보다 전남도는 오는 2020년까지 1GW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고 연간 풍력발전기 10GW를 수출, 세계시장을 석권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어 지경부와 무안·영광·신안군수, 농어촌공사를 비롯해 DMS, 대우조선해양, STX에너지, 포스코파워,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지역난방공사, 금융사 등 발전관련 기관·기업간 ‘전남도 5GW 풍력프로젝트 투자협약식’을 체결하는 등 풍력발전 산업의 메카로 발돋움하기 위한 말판을 마련해 놓은 상태다.
최근 국정감사에서 전남의 5GW 해상풍력사업에 대한 경제성이 도마 위에 오르기는 했으나 전북의 입장에서 보면 한발 앞선 움직임을 보였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높다. 지경부의 로드맵이 전남 영광에서 발표되는 점도 연장선상에서 곱씹을 필요가 있다는 것.
또한 2019년 이후 7.7GW 규모로 확대할 계획으로 대부분의 풍력발전기가 상대적으로 조선·풍력 기반을 갖추고 있는 전남 서·남해안과 경남지역에 밀집시킬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전북은 들러리로 전락할 공산이 크다. 즉, 도가 국가사업으로 추진하는 새만금 풍력산업 클러스터 조성과 함께 오는 2020년까지 1GW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고 연간 풍력발전기 10GW를 수출하겠다는 계획은 장밋빛 청사진으로 그칠 수도 있다는 우려다.
▲ 전북의 풍력산업 클러스터 구축 타격(?) = 부산시가 해상풍력산업 육성에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다. 현재 풍력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에 착수한 상태로 강서구 생곡동 일대 54만8500㎡ 규모로 조성 중인 풍력부품산업단지와 해상풍력 실증단지 조성 등을 통해 풍력 수출 전진기지로 육성하겠다는 것.
경남 역시 최근 ‘풍력부품산업 클러스터 조성 타당성 조사’ 최종보고회를 갖고 풍력부품산업의 메카, 신재생에너지의 수도가 되겠다는 구상이다.
이 같은 영남권의 풍력산업 계획에 전북·전남의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에 따른 기업유치와 경제활성화 등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다.
경남과 울산에는 풍력발전기를 개발하고 완성품을 조립하는 제조업체의 90% 이상이 위치해 있고 경남과 울산에 위치해 있고 특히 경남 창원과 부산, 울산에 풍력발전기용 주요 핵심부품 제조업체의 50% 이상이 몰려 있다. 이들 지자체는 기업들이 전·남북 등 타 지역 이전을 경계하며 전략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기업들도 풍력만으로는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등 이유를 들어 이전 투자를 꺼리고 있는 분위기로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뿐 아니라 전북 자체의 풍력산업 육성에도 찬물을 끼얹기에 충분하다. 이 때문에 제2의 현대중공업 유치가 커다란 과제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정부의 로드맵에 따른 제기되고 있는 기업 유치 등 다양한 문제는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라며 “1단계로 추진되는 실증단지 구축 등 실증연구의 성패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최준일기자·ghksrh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