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5+2 광역경제권’중 호남권의 혁신 역량이 고작 수도권의 4분의 1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돼 지금까지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삼성경제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광역경제권 출범과 지역 기업의 대응과제’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과 호남권, 충청권, 대경권, 동남권 등 5대 광역경제권과 강원권, 제주권 등 2대 특별광역경제권의 총합혁신지수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특히 전북과 광주광역시, 전남도를 아우르는 호남권 광역경제권의 총합혁신지수는 고작 0.22에 그쳤다.
 이는 수도권 0.78의 4분의 1 수준으로 7개 광역경제권 총합혁신지수 중 6위로 제주권과 함께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이 0.78로 1위를 기록했고 충청권(대전, 충북, 충남)이 0.64로 2위를 기록했다.
 다음으로 대경권(대구, 경북)이 0.44로 3위를 기록했고 강원권(강원)이 0.26로 4위,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이 0.24로 5위를 기록했으며 제주권은 0.05로 꼴찌를 기록했다.
 호남권은 5대 광역경제권의 주요 경제지표 순위에서 인구(520만) 3위, GRDP(지역내총생산 91조원) 4위, 지방세수(2조 3240억원) 5위, 제조업체 수(3682개) 5위에 머물렀다.
 결국 호남권은 EU의 이노베이션 평가서를 기초로 인적자원과 R&D 지출, 특허출원, 혁신기업비율, 벤처기업 수 등 21개 항목을 지수화해 산출한 총합혁신지수에서도 하위권을 기록했다.
 따라서 권역별 선도산업 프로젝트는 지역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사업환경을 조성, 기술혁신 역량 제고와 고부가가치 성장동력형 산업의 고도화를 추진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만 호남광역경제권의 경우 그 효과가 타 광역경제권에 비해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셈이다.
 뿐만 아니라 삼성경제연구소는 호남광역경제권의 경우 기업이 혁신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정책환경 개선 효과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복수의 지자체와 갖는 이해관계가 사업 효율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는 만큼 지역기업은 변화한 광역거버넌스 환경에 부응해 사업 주체들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글로벌 경쟁거점으로서 광역경제권 구축과 관련한 정책적 시도는 유럽이 지난 1997년 최초로 추진, 현재 42개 가운티를 9개 광역권으로 통합해 개발의 속도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프랑스 역시 지난 2002년부터 22개 레지옹을 6개 광역권으로 나누어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오재승기자·ojs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